2025/07/02 3

AI 시대에도 살아남은 수공업 직업군: 수공 도자기 장인 인터뷰

AI 시대 흙과 손이 만나 완성되는 느린 예술, 도자기를 짓는 사람모든 것이 클릭 한 번이면 복제되는 시대다. 디자인은 AI가 만들고, 3D 프린터로 도자기 형태를 뽑아내는 것도 이제는 흔한 일이다. 공장에서 생산되는 도자기는 수천 개가 하루 만에 쏟아진다. 하지만 여전히 흙을 손으로 만지고, 물레를 돌려 그릇을 짓는 사람이 있다. 전라남도 강진의 한 언덕 위, 조용한 흙집 공방에서 40년째 도자기를 굽는 박용기 장인이 그 주인공이다.그의 하루는 새벽 흙을 만지는 일로 시작된다. 직접 채취해 숙성시킨 점토를 물에 개고, 고운 체에 걸러 불순물을 제거한 뒤, 손으로 주물러 부드럽게 만든다. 이 과정을 거친 흙은 최소 6개월 이상 숙성돼야 ‘쓸 수 있는 흙’이 된다. 그는 말한다. “흙도 사람처럼 시간을 줘..

AI 시대에도 살아남은 수공업 직업군: 수제 양초 공방의 정성과 기술

AI 자동화 시대에 손으로 불을 만드는 사람들디지털 기술이 사람의 손을 대신하는 세상, 양초조차도 공장에서 쏟아져 나온다. 대형 유통 업체에 납품되는 양초는 정밀한 자동화 시스템으로 단시간에 수천 개씩 생산된다. 색, 크기, 향기까지 입력값 하나면 무한히 복제할 수 있다. 하지만 그런 시대에도 여전히 ‘불을 손으로 만드는’ 사람들이 있다. 서울 마포구의 골목길 한 편, 작은 수제 양초 공방을 운영하는 박소연 씨는 그중 한 명이다.그녀는 하루 평균 10~15개의 양초만 만든다. 같은 모양이지만 똑같은 건 없다. “양초는 결국 사람의 감정을 태우는 물건이에요. 기계처럼 똑같이 찍어내면 그 감정이 사라지죠.” 그녀가 말하는 수제 양초는 단순한 향과 디자인이 아닌, ‘손으로 만든 불빛’ 그 자체다. 공방에는 다..

AI 시대에도 살아남은 수공업 직업군: 조선간판 붓글씨 장인 인터뷰

AI 시대 디지털 세상 속 붓을 고집하는 한 사람의 고요한 저항디지털로 모든 것이 처리되는 시대, 간판조차 손으로 쓴다는 건 낭만으로만 치부되기 쉽다. 하지만 서울 종로3가 낡은 골목, 간판이 다 닳아 잘 보이지 않는 2층 작업실에는 지금도 붓으로 간판을 쓰는 장인이 있다. 올해로 일흔둘, 최병도 씨는 1970년대부터 지금까지 오직 손 글씨 간판만을 고집해 온 사람이다. 그는 나무판과 붓, 먹, 그리고 손의 감각만으로 세상의 글자를 써왔다.그가 처음 간판 일을 시작했을 때만 해도 모든 간판은 붓으로 썼다. 글씨가 아름다우면 가게에 손님이 몰렸고, 글씨체만으로도 지역 장인의 실력을 알 수 있었다. 그는 단순한 글씨가 아니라 사람의 운명, 상점의 기운, 주인의 의지를 읽고 붓끝에 담았다. “나는 간판을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