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07 2

AI 시대에도 살아남은 수공업 직업군: 대나무 찻잔 만드는 사람의 정성

기계가 찍어내지 못하는 한 잔의 온기산속에서 불어온 바람이 대나무 숲을 흔드는 소리만큼 정직한 소리는 없다. 전남 담양, 그 대나무의 고장에서 40년 넘게 대나무 찻잔을 만들어온 장인이 있다. 올해 69세가 된 박진문 장인은 지금도 매일 새벽 다섯 시에 일어나 대나무를 손질하며 하루를 연다. 그가 만든 찻잔은 전통 다도 모임이나 차 애호가들 사이에서 ‘살아 있는 찻잔’으로 불린다.박 장인은 기계를 사용하지 않는다. 그의 작업에는 전기톱도, 자동 연마기도 없다. 손도끼, 칼, 송곳, 줄 하나면 충분하다. “대나무는 살아 있는 재료예요. 톱날이 아니라 손끝으로 그 결을 느껴야 해요. 칼날이 조금만 삐끗해도 찻잔이 갈라지거나, 물이 새요.” 그는 대나무의 나이, 마디의 위치, 수분 함량까지 오로지 손과 눈으로..

AI 시대에도 살아남은 수공업 직업군: 천연염색 장인이 말하는 색의 의미

디지털 색상이 지우지 못한 자연의 색2025년 현재, 색은 숫자로 환산되고 있다. 패션 브랜드는 AI가 제안한 트렌드 색을 따라 움직이고, 디지털 그래픽 도구는 정확한 색상 값으로 일관된 결과물을 만든다. HEX 코드, RGB 값, CMYK 수치는 이제 색의 본질을 정의하는 공식 언어처럼 쓰이고 있다. 그러나 충북 괴산의 산자락 아래, 여전히 꽃잎과 나무껍질을 달여 색을 우려내는 사람이 있다. 천연염색 장인 박연화 씨(68)는 “색은 숫자가 아니라 숨결”이라고 말한다.박 장인의 공방은 마치 식물 실험실 같다. 항아리 속에는 치자, 쪽, 감, 오배자, 양파껍질, 홍화잎이 발효되고 있고, 나무 선반에는 말리고 있는 천들이 가지런히 걸려 있다. 그녀는 이곳에서 30년 넘게 천연염색을 해오고 있다. “천연염색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