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11 3

AI 시대에도 살아남은 수공업 직업군: 종이접기로 삶을 지탱하는 작가의 하루

종이 한 장에 담긴 세계, 손끝에서 피어나는 형상서울 은평구의 한 조용한 골목, 오래된 주택을 개조한 작은 작업실 안. 정갈하게 쌓인 종이 뭉치 사이에서 손이 분주히 움직이고 있다. 가위도 풀도 없다. 오직 손가락의 감각만으로 종이를 꺾고 접는 행위가 계속된다. 올해 마흔넷, 종이접기 작가 정민서 씨는 지난 15년 동안 종이 하나로 생계를 이어오고 있다. 그는 오늘도 종이 위에 생명을 불어넣는다.종이접기는 어린 시절 누구나 한 번쯤 해봤던 놀이지만, 정민서 씨에게는 삶의 방식이자 예술이다. “종이는 가장 단순한 재료지만, 무한한 가능성을 가진 재료예요. 칼이나 도구 없이도, 접기만으로 구조가 생기고, 감정이 생기죠.” 그는 평면의 종이가 입체로 변하는 찰나의 감각을 사랑한다. 그 감각은 설계가 아니라 손..

AI 시대에도 살아남은 수공업 직업군: 바느질 책갈피 작가

천 조각 위를 걷는 이야기, 바느질로 완성된 한 줄의 감성경기도 파주의 한 골목, 출판 단지와 인쇄소 사이에 위치한 조용한 작업실. 가만히 귀를 기울이면 실과 바늘이 천을 통과하는 ‘슥슥’ 소리가 정적을 채운다. 올해로 12년째, 이곳에서 오직 바느질로 책갈피를 만드는 작가 이나경 씨(41)는 하루도 빠짐없이 책 속에 담을 감정을 천 조각에 꿰매고 있다. 그녀는 자신을 ‘침묵하는 이야기꾼’이라 부른다. 말 대신 바느질로, 문장 대신 자수로 누군가의 기억을 남기는 사람이다.이나경 작가의 책갈피는 단순한 문구용품이 아니다. 한 땀 한 땀 손으로 만든 그 조각들은 독자의 취향과 기억, 책의 내용과 분위기를 반영한 ‘작은 감정의 조각’이다. “책을 읽는 시간은 대부분 조용하잖아요. 저는 그 조용한 순간에 함께 ..

AI 시대에도 살아남은 수공업 직업군: 전통 등롱 복원 전문가의 기록

잊힌 빛을 되살리는 사람경기도 남양주의 조용한 산자락 아래, 오래된 한옥을 개조한 작업실에서 작은 불빛이 밤늦도록 깜빡인다. 전기조명이 아닌 전통 등롱의 희미한 불빛이다. 이 등롱을 복원하고 재현하는 장인은 올해 68세가 된 박정근 씨다. 그는 40년 넘게 전통 조명, 그중에서도 궁중에서 쓰이던 등롱을 복원해 온 국내 유일의 수공예 전문가다.AI가 3D 스캔 기술을 기반으로 유물을 디지털 복원하는 시대에, 박정근 씨는 여전히 한지, 소나무, 밀 풀, 금박, 옻칠을 손으로 다루며 등롱 하나를 복원한다. “디지털은 형태만 따라가요. 나는 온도를 기억해요. 등불은 그 시대의 공기와 감정을 복원하는 일이에요.” 그는 등롱이 단순한 조명이 아닌 ‘시대를 비추던 상징’이라는 점을 강조한다.복원 대상은 조선시대 궁중..